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주식

중국 AI 딥시크 엔비디아 주가 17% 폭락

by Woooon@ 2025. 1. 28.
반응형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 충격…엔비디아 주가 17% 폭락, 글로벌 시장 흔들리다

최근 인공지능(AI) 시장에서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등장이 글로벌 기술업계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엔비디아, AMD 등 미국 반도체 기업을 포함한 AI 관련주들이 대폭락하면서 글로벌 증시에도 큰 파장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딥시크, 저비용 고효율 AI 모델로 시장에 충격

딥시크는 최근 저비용으로 개발한 AI 모델 ‘V3’를 공개하며 주목받았습니다. 이 모델은 성능을 일부 제한한 엔비디아의 H800 칩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빅테크의 최첨단 AI 모델과 비슷하거나 뛰어난 결과를 보여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놀라운 점은 비용 절감입니다. 딥시크의 AI 모델 개발 비용은 약 78억 원으로, 수조 원을 투자하는 기존 빅테크와 비교해 압도적으로 낮습니다. 이에 따라 엔비디아의 고성능 AI 칩이 필수적이라는 기존 패러다임에 균열이 생기며, 투자자들은 엔비디아의 미래 성장성을 의심하기 시작했습니다.

 


 

엔비디아, 시가총액 880조 원 증발

27일(현지 시간) 뉴욕 증시에서 엔비디아의 주가는 17.52% 급락해 117.63달러로 마감했습니다. 하루 만에 시가총액 880조 원이 증발하며, 1위에서 3위로 밀려났습니다. 반도체 지수 필라델피아도 9.4% 폭락해 AI 열풍이 꺾일 수 있다는 우려를 반영했습니다.

특히, AI 반도체 수요를 이끌었던 엔비디아의 주요 제품인 H100 칩이 딥시크의 저렴한 대안으로 인해 수익성이 타격받을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브로드컴, AMD, ASML 등 주요 반도체 기업도 동반 하락하며 시장의 불안을 보여줬습니다.

 


 

딥시크, 챗GPT 제치고 美 앱스토어 1위

딥시크가 개발한 AI 어시스턴트 앱은 미국 애플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1위를 차지하며 오픈AI의 챗GPT를 제쳤습니다. 뉴욕타임스(NYT)는 딥시크의 기술이 고성능 칩과 방대한 전력에 의존하지 않고도 경쟁력 있는 성능을 보여줬다고 평가했습니다.

딥시크의 성공은 AI 산업의 게임 체인저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미국 대형 기술 기업들이 딥시크의 저비용 AI 개발 방식을 참고할 경우, 엔비디아의 현재 비즈니스 모델은 큰 변화를 맞이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AI 시장, 중국발 변화의 시작?

딥시크의 등장은 AI 기술에서 중국이 미국을 위협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 분석됩니다. 저비용 AI 모델의 확산은 기존의 고비용 중심 AI 비즈니스 구조를 바꿀 가능성이 크며, 이는 엔비디아뿐 아니라 미국 전체 AI 시장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이번 조정을 매수 기회로 볼지, 혹은 AI 관련주의 거품 붕괴 신호로 볼지 논란이 뜨겁습니다. 하지만 한 가지는 분명합니다. 딥시크의 등장은 AI 시장에서의 치열한 경쟁과 기술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입니다.

728x90
반응형

home top bottom
}